펩타이드와 단백질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사실은 놀랄만한 것이다. 예를 들면, 트라이펩타이드에 있는 세가지 다른 아미노산의 가능한 배열은 6가지이다. 테트라펩타이드의 경우에는 24가지로 늘어나며, 8개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된 옥타펩타이드의 경우에는 무려 4만가지로 급증한다.
특별한 펩타이드와 단백질의 구조를 논의하기에 앞서서 약간 더 복잡한 경우를 한 가지 소개하고자 한다. 펩타이드 결합을 제외하고 보면 펩타이드와 단백질에 존재하는 유일한 공유결합은 이황화결합이다. 이 결합은 두 시스테인 단위를 연결하고 있다. 싸이올은 이황화물로 쉽게 산화된다는 것을 상기하라. 두 시스테인 단위는 이황화결합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.
만약 두 시스테인 단위가 한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내의 다른 부분에 존재한다면, 이 둘 사이의 이황화결합은 루프, 즉 커다란 고리를 형성할 것이다. 만약 이 두 단위가 다른 사슬에 있다면, 이황화결합은 두 사슬을 가교결합시킬 것이다. 앞으로 이러한 예를 볼 수 있을 것이다. 이황화 결합은 약한 환원제에 의해서 쉽게 깨질 수 있다.
단백질은 많은 수의 아미노산이 아마이드결합으로 연결된 생체 고분자이다. 이들은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. 어떤 단백질은 구조조직의 주성분이다. 어떤 단백질은 생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분자를 수송한다. 어떤 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많은 생물학적인 반응의 촉매역할을 하기도 한다.
'일상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 맛이 느껴지는 성분은? (0) | 2020.06.01 |
---|---|
오늘은 편의점에 들렀다. (0) | 2020.05.30 |
어떤 목적으로 물질을 합성할까? (0) | 2020.05.28 |
생명체에 들어있는 물질들 (0) | 2020.05.24 |
화학적 이동 값을 보자 (0) | 2020.05.22 |